성능 테스트

🚀 개요 이전에 부하 테스트를 위한 nGrinder를 설치하기 글을 통해 테스트 툴은 세팅이 미리 끝난 상태이다. 성능 테스트 과정을 좀 더 알아보니 단순히 스크립트 짜기 ➡ 테스트 진행 ➡ 결과 분석 과정이 다가 아니라 테스트 계획 수립 ➡ 시나리오 짜기 ➡ 테스트 진행 ➡ 결과 분석 ➡ 적용 과정을 거친다고 한다. 성능 개선을 위한 테스트 과정을 좀 더 파다보니 생각보다 준비할 것도 많고 고려할 점도 많은 것 같고 이런 부분에 대한 러닝 커브가 걱정돼서 할까 말까 고민하다가 잠 못 이루고 그랬는데 어쨌든 조회할 테이블에 데이터가 누적될수록 당연히 조회 성능은 떨어지기 마련이고 이런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부분에서 내 쿼리문은 솔직히 많이 형편없다고 생각하는 상황이어서 검색 로직이든 쿼리문이든 개선할 ..
🚀 개요 ⭐ 성능 테스트 (Performance Test) 시스템 구성 요소가 특정 상황에서 어떤 성능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테스트이다. 제품의 리소스 사용, 확장성 및 안정성도 이 테스트를 통해 검증할 수 있다.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평가하고, 최적화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. 그리고 성능 테스트는 부하 테스트와 스트레스 테스트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. ⭐ 부하 테스트 (Load Test) 임계값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시스템의 부하를 지속적으로 꾸준히 증가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. 부하 테스트는 사용자의 수, 트랜잭션의 수 등 다양한 부하 조건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평가한다. 즉, 시스템이 예상되는 사용자 수 또는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지 ..
만 제
'성능 테스트' 카테고리의 글 목록